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스토리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전략적 공부해나가기


사실 2000여 명 수준의 응시자가 있는

산업기사 시험이 그렇게 많지 않은 가운데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시험은
매년 꾸준히 2000여 명 수준의 응시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수질 관련 자격증이 환경 자격증에서도
가장 활용적인 측면에서 좋은
자격증이기 때문인데요.

대기환경이 최근에 이슈가 되어서
인기가 다소 높아진 측면이 있지만
전통적으로 수질환경 부분은 
중요시되어오다 보니 전통적인
분야이기도 하고요.



일단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시험과목은
모두 네 과목으로 되어있는데
수질오염 개론 / 수질오염방지기술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 수질환경관계법규
수질환경산업기사인데요.

필기는 이전과 큰 변화가 없지만
수질환경산업기사 실기 시험의 경우
주관식 필답형에 작업형 시험까지 
함께 시행이 되어왔으나 
지난 2020년부터 작업형은 빠지게 되면서
오로지 필답형 시험만으로 평가가 되어왔어요.

 


그러다 보니 사실 수질환경산업기사 합격률이
어떤 식으로 변화할지 
무척 궁금했답니다.
일단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합격률은
매년 20~30%대를 왔다 갔다 했었는데
지난 2020년에는 다소 높은 
35.9%의 합격률을 보였고요.

실기는 합격률은 확실히 이전 
50~60% 수준에서 40%대로
내려간 것을 알 수가 있었어요.
지난 2020년 합격률이 45.1% 였으니까요.
보통 작업형에서 많은 분들이
점수를 만회해서 합격하는 경우가 많고
필답형에서는 점수가 잘 안 나오는 경우가
많다 보니 작업형 시험이 빠지게 되면
합격률이 하락하는 게 일반적이고
이는 다른 산업기사 시험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시험을
준비할 때에는 제일 우선순위로 수질오염개론을
공부하고 시작하시는 게 좋은데요.
이 과목이 전체적인 바탕을 이루는 
과목이기 때문이에요.
이는 단순 필기과목뿐 아니라 
실기 필답형 시험에도 이어지기 때문에
기초를 탄탄하기 위해서는 이 과목을
열심히 제일 먼저 열심히 하실 필요가 있어요.

완전한 수질 관련 전공자분들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전공이 아니신 분들의 경우는 
일단 관련 단위터 시작 전
한번 쭉 정리하고 시작을 하는 게 좋고요.
계산형 문항들은 기존 빈출 문제 위주로
출제가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부담을 덜 느끼셔도 될듯합니다.

 


수질오염방지기술은 7~8문제 정도가
계산문제로 출제가 되고 있어서
계산에 약하신 분들은 어렵게 느낄 수밖에 없지만
역시나 빈출 위주의 출제가 되기에
꼼꼼하게 지난 문제들을 검토하시면 
좋을 듯하고요.
마찬가지로 이 과목에서 필답형 출제가
주로 출제가 되기에 단순 암기형 학습이 아닌
개념 이해형 학습이 필요합니다.

세 번째 수질환경산업기사 필기 과목인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은 사소한
부분들까지 외워야 하기 때문에
외우는걸 힘들어하시는 분들은
체감적으로 어려운 과목인데요.
양까지 많다 보니 더욱 그렇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묵묵히 할 수 있는
암기에 강하신 분이라면 오히려 점수가
잘 나오는 과목이기 때문에 
전략적으로 활용하셨으면 합니다.

마지막은 수질환경관계법규인데요.
법 과목 특성상 암기 중심의 과목입니다.
일단 가장 골치 아픈 계산형 문항이
없다는 것도 좋은 부분이고요.
외우는 게 지루하지만 복잡한 부분은
없기 때문에 대부분 이 과목에서 과락이
나오거나 하지 않고 점수가 잘 나오는
과목이라고 할 수가 있어요.

혹시라도 계산이 포함된 과목에 약하신 분들은
이 수질환경관계법규를 전략과목으로
하셔서 집중해서 준비하시면
평균 점수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수질환경산업기사 기출문제 바로 받기(클릭)